-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Horticultural Treatment Program for Elementary Wee class Counselor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연화(Yeonhwa Park) 곽혜란(Hyeran Kwac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2호, 45~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예치료활동을 Wee 클래스 상담 프로그램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Wee 클래스 내 원예치료의 운영경험은 높았는데(40.9%) 원예치료 운영주체는 원예치료사가 지도하는 비율이 높았고(37.5%), 원예치료는 상담활동에 좋은 매개가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33.1%). Wee 클래스와 원예치료 도입에서 선행요소는 원예치료 상담사 연수(59.1%)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예산지원(27.3%)이었다. 기대효과는 상담기법 다양화(26.5%), 다양한 내담자에 적용가능성(25.3%), 상담사 자신의 힐링(12.6%)과 정서순화(33.9%)가 꼽혔다. Wee 클래스 내 원예치료에 효과적 대상자는 불안과 우울 등 정서문제(30.7%), 대인관계 문제(17.8%), 폭력 등 행동문제(13/5%), 중독 등의 문제(11.5%) 순이었다. Wee 클래스 상담 과정 중 원예치료는 관계형성단계(48.9%), 탐색단계(18.2%), 실행단계(18.2%) 등의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치료 도입 선행요소는 상담사 연수가 가장 높았다(59.1%). 원예치료 연수필요성은 원예치료의 교육적 효과(34.6%)와 집단상담 활용성(29.8%) 및 원예치료의 상담사 소진에 도움을 주는 면(19.1%) 등이 꼽혔다. 원예치료 연수 프로그램 구성은 ‘원예치료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 프로그램 구성’이 가장 높았고(32.5%) 효과적인 운영회기는 5~8회기(47.8%)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치료 연수 후 원예치료 연수 참여 의사도 높았다(90.9%).
Wee 클래스 상담사 특성에 따른 원예치료 프로그램 필요성을 정량적 변수에 대해서는 t검증을, 복수 범주의 정성적 변수에 대해서는 카이제곱검정(𝒙²)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수 참여정도와 연수 필요성을 상담경력별로 알아본 결과 상담경력과 연수참여정도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으며(p=.002) 연수 필요성은 경력별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운영경험과 연수참여 정도를 원예치료 프로그램 운영 경험별로 알아본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운영 경험과 연수 참여도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다(p=.012). 정성적 자료인 원예치료 프로그램 운영 경험과 다양한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𝒙²)으로 집단간 분포 차이를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gather essential data for integrating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into the Wee class counseling program.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substantial proportion (40.9%) reported substantial experience implementing horticultural therapy in the Wee classes, with 37.5% of sessions led by horticultural therapists. Horticultural therapy was widely perceived as beneficial for counseling (33.1%). The key prerequisites for introducing horticultural therapy into Wee classes were training for horticultural therapy counselors (59.1%) and budget support (27.3%). The anticipated benefits included diversifying counseling techniques (26.5%), applicability to diverse clients (25.3%), promoting counselor self-healing (12.6%), and emotional purification (33.9%). Target groups were individuals with emotional issu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30.7%),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17.8%), behavioral problems like violence (13.5%), and addiction issues (11.5%). Counselor training (59.1%) was the foremost prerequisite for implementing horticultural therapy due to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34.6%), applicability in group counseling (29.8%), and potential to help counselors with burnout (19.1%). 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horticultural treatment training program,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program that can be actually applied to horticultural treatment' was the highest (32.5%), and the most preferred operating session was 5 to 8 sessions (47.8%).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horticultural treatment therapy sessions was reported to be high after the training (90.9%).
The necessity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ee class counselors, was analyzed using t-tests for quantitative variables and chi-square tests (𝒙2) for qualitative variables with multiple categorie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unseling experience and the degree of training participation (p=.002), although the need for training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erience.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ional experience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and the degree of training participation (p=.012). Chi-square tests were employed to evaluate distribution variances among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operational experience with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내용 및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