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oci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Older Women Living Alone - Focusing on Obesity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최혜영(Hye Young Choi) 김은하(Eun H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8 No.10, 133~14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 특성요인을
파악하고 비만 요인을 중심으로 대사증후군의 관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독거노인 606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방법
분석을 수행하였다.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 및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영향요인은 교육수준, 직업상태 및 비만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6.0%로 나타났다. 최종모형에서 비만 요인은 대사증후군 분산 중 10.2%를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여성독거노인의 비만 관리는 대사증후군 발생을 낮추는데 필수적
이라는 것을 대상자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며, 대상자의 교육수준 및 직업 유무
를 고려한 식이 및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influencing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MetS), focucing on obesity in older women living alone. Methods: The subjects were 606 older
women living alone and data set was obtained from the Eigh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ⅦI-1, ⅦI-2). Multi-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Results: The influencing factors of MetS were educational level (OR=1.95, CI=1.01-3.78),
occupational status (OR=0.53, CI=0.31-0.91) and obesity (OR=5.70, CI=3.04-10.70) explained 26.0% of the
variance in MetS. In final model, obesity factor explained an additional 10.2% of the variance in MetS. Therefore,
obesity management of the older women living alone should be educated so that the subjects themselves
can recognize that it is essential to lower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