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ntal Health Crisis Scale to Be Used by Frontline Police Officers in Psychiatric Emergencies Caused by Insanit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경자(Kyung Ja Lee) 이영미(Yeong M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8 No.10, 95~1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위기개입 실무자 집단인 일선경찰관들이 정신이상자들에 의해 발생한
정신과적 응급상황에서 정신이상자들을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정신건강 위기 척도(도구)
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CMIN(χ2)/df
값이 2.040, GFI .878, RMSEA .081, CFI .963, TLI .950로 기준치에 부합하였다. 수렴타당성을 확인한
결과, 요인부하량(λ) 값은 모두 .50 이상이며, 유의수준이 p<.001로 나타났다. 평균분산추출(AVE)은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의 AVE 값이 0.5 이하로 나타났고, 자살행동과 정신상태는 0.5 이상으로
나타났다. 개념신뢰도(C.R.)는 0.700~0.876으로 모두 0.7 이상을 충족하였다. 개발된 정신건강 위기
척도는 지역사회 현장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기에 일선경찰관들이 정신과적 위기대응현장에
서 실질적이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ntal health crisis scale (tools)
developed for use by frontline police officers in psychiatric emergencies caused by insane peopl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estimated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CMIN(χ2)/df=2.040, GFI.878, RMSEA.081, CFI.963, TLI.950, which met the standard valu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nvergence validity, the factor load (λ) values were all .50 or more,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01. In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AVE), the AVE values of physical
and social factors were analyzed to be less than 0.5, and suicidal behavior and mental state were derived
to more than 0.5. The Construct Reliability (C.R.) was 0.700 to 0.876, all of which met 0.7 or more. Since
the developed mental health crisis scale actively reflects the situation in the local community, police officers
can be used it practically and usefully in the field of psychiatric crisis respons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