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low-based Seismic-resilience Estimation of Urban-bridge Transportation Network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윤성식(Sungsik Yo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3호, 175~18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최근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경주지진과 규모 5.4의 포항지진으로 인하여 큰 사회적 혼란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교량과 상수도 시설물과 같은 중요한 사회기반시설물의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여 구조물 자체의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에 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 교량 네트워크의 내진 복원력 추정을 위한 흐름해석에 기반한 포괄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 대한민국 경주시에 있는 도로 네트워크를 채택하였으며, 지리 정보시스템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지도를 재구축하였다. 수치 해석 결과 지진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교량 네트워크의 내진 회복력 곡선의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교량 구조물 복구에 따라 단위 시간당 필요 교통량의 여행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Gyeongju earthquake (magnitude 5.8) and Pohang earthquake (magnitude 5.4), which occurred recently in South Korea, induced profound social confusion. In particular, severe damage to critical infrastructures, such as bridges, water, and power-supply facilities, not only directly damages the structures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methodology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seismic resilience of urban-bridge transportation networks based on flow analysis. To demonstrate the proposed methodology, an actual bridge transportation network in Gyeongju, South Korea was adopted, and a network map was reconstructed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umerical analysis show that the area of the seismic-resilience curve of the bridge transportation network increases with the earthquake magnitude. Moreover, the required travel time decreases as the bridge structure is restored.
목차
1. 서 론
2. 선형연구에 대한 토의
3. 도심 교량 네트워크의 내진 복원력 평가
4. 적용 예제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