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uantitative Evaluation of Evacuation Efficiency during Disaste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Human Resources in Medical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정현(Junghyeon Kim) 김문식(Moonsik Kim) 김용주(Yongjoo Kim) 이동호(Dongho Ri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3호, 97~10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중환자는 재난 발생 시 자력 대피가 불가능하며 낮은 생존율로 인해 최하위 대피 순위를 지니는 재난 약자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현행 의료시설 재난 발생 시의 대피는 생존율이 높은 경증환자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피방식이 대피효율의 향상으로 이어지는가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자립 보행, 휠체어, 침상 등의 다양한 대피 유형을 지닌 환자들이 위치하는 의료시설을 대상으로 Flexsim Healthcare를 활용하여 RSET (대피소요시간)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 약자의 대피효율 향상을 위해 법정 기준 40% 이상의 상주 간호사를 필수적으로 배치해야 하며, 전체 대피보조인력의 75%를 침상환자, 25%를 휠체어 환자 대피에 할당하는 경우의 대피효율이 가장 높은 것을 밝혔다.
영문 초록
Intensive care patients are among those most vulnerable during disasters, as they are unable to evacuate independently and often rank lowest in evacuation priority due to their low survival rates. Consequently, evacuation protocols in medical facilities prioritize patients with better survival prospects. However, quantitative research on whether such evacuation methods improve efficiency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utilized Flexsim Healthcare to calculate the Required Safe Evacuation Time for medical facilities accommodating patients with various evacuation needs, including those who are walkable, in a wheelchair, and bedridde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ployment of over 40% of resident nurses as per legal standards is necessary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evacuation efficiency for vulnerable populations. Additionally,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st evacuation efficiency is achieved when 75% of all evacuation assistants are assigned to bedridden patients and 25% to those in wheelchairs.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대피 시뮬레이션 조건
4. 대피 시뮬레이션 결과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