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action Elements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Authoring To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영(Min Young Kim) 최서현(Seo Hyun Choi) 홍주영(Joo Young Hong) 신윤희(Yoon Hee Sh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1호, 193~2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프로그래밍 IVR(Immersive Virtual Reality) 저작도구의 상호작용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IVR 콘텐츠 유형 개발에 적절한 비프로그래밍 저작도구를 제시하여 직접 IVR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교수자의 저작도구 선택을 돕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IVR 활용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저작도구 코스페이시스 에듀(Cospaces Edu), 로블록스(Roblox), 시나리오VR(CenarioVR), 모질라허브(Mozilla Hubs)를 선정하여 프로그래밍을 하지 않아도 활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IVR 콘텐츠 유형인 활동형, 발견형, 설명형, 체험형, 협업형에 연결하여 각 저작도구의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4개의 비프로그래밍 저작도구를 총 9개의 상호작용 기능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각 저작도구의 대표적인 상호작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코스페이시스는 체험형과 활동형 콘텐츠, 로블록스와 모질라허브는 체험형, 발견형, 협업형 콘텐츠, 시나리오VR은 발견형, 설명형 콘텐츠 개발에 적합했다.
결론 향후 IVR 활용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래밍 비전문가 교수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IVR 콘텐츠 유형에 따라 비프로그래밍 저작도구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nteraction elements of non-programming IVR authoring tools and suggests tools that are appropriate for develop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IVR) content to help instructors who want to develop their own IVR content choose authoring tools.
Methods In this study, we selected Cospaces Edu, Roblox, CenarioVR, and Mozilla Hubs, which are being used in IVR-contents development research in education field, and analyzed the interaction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without programming, and connected them to the five IVR content types (Activity-based, Discovery, Presentation, Experiential, and Collaborative)
Results The four non-programming authoring too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total of nine interaction elements, and representative interaction elements for each tool were identified. Cospaces Edu was suitable for Activity-based and Experiential contents, Roblox and Mozilla Hubs for Experiential, Discovery, Collaborative contents, and CenarioVR for Discovery and Presentation content develop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criteria for instructors who are not experts in programming but want to develop IVR-enabled educational content in the future so that they can choose the appropriate non-programming authoring tool based on the type of IVR content they want to app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