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이용수 143

영문명
Exploring children’s experience evident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haring stor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은(Jieun Lee) 최연철(Younchul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861~8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주체가 되는 이야기 만들기 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토대로 유아가 직접 이야기를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방법 2023년 3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19주 동안 만 5세 유아 14명과 함께 이야기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동영상 촬영 및 이야기 녹음을 통한 참여 관찰, 유아 면담, 연구자 저널 작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당일 전사하여 분석하였고 유아들이 만든 이야기를 시간순과 개별 유아별로 정리하여 재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유아들은 ‘이야기 전환 시도하기’, ‘자신의 이야기로 관심 유도하기’, ‘자기 이야기 지키기’와 같은 경험을 하였다. 유아들은 이야기가 자신의 관심사에서 벗어나면 거부하거나 시공간을 이동시켜 이야기를 전환하려고 시도하였다. 또래 유아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질문으로 궁금증을 유발하거나 자기 욕구와 타인의 기대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표현을 하기도 했다. 또한 또래 유아들이 보이는 부정적인 반응에 대해 대응하고 자신의 이야기와 타인의 이야기를 구분함으로써 자기 이야기를 지키려고 노력했다. 결론 유아들이 경청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자신의 경험에 재방문하여 ‘유의미한 경험’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야기를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은 유아들에게 상호호혜적 대화 및 성장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children as they took the lead in creating and sharing their own stories, based on the necessity for storytelling activities driven by children themselves. Methods For 19 weeks from March 20 to July 28, 2023, story-mak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14 five-year-old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ethods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via video recording and story recording,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creating a researcher’s journal.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on the same day, and the meanings were interpreted through a process of reviewing the sto-ries created by the children in chronological order and by each individual chil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experienced ‘attempting to transition the story’, ‘inducing interest with their own stories’, and ‘maintaining their own stories’. When the story deviated from their interests, the chil-dren refused or attempted to transition the story by moving the space and time. To attract the interest of their peers, they raised curiosity through questions or expressed things that could simultaneously pursue their own de-sires and others’ expectations. They also tried to maintain their own stories by responding to negative reactions from their peers and distinguishing between their own stories and others’ stories. Conclusions Since the children felt the need for listening and revisited their experiences to create ‘meaningful ex-periences’,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haring stories can be seen as a reciprocal dialogue and growth process for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은(Jieun Lee),최연철(Younchul Choi). (2024).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861-878

MLA

이지은(Jieun Lee),최연철(Younchul Choi).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861-87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