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teacher-parent relationships examined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심재연(Jae-Yeon Sh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793~8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이 부모와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사-부모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관련 변인이 영유아교사에게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부모 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물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KCI 등재지)에 발표된 관련 주제의 18편의 질적 연구 논문이 선택되었다. 분석 대상 논문의 개별 연구물 간 자료 코딩, 개별 연구 간 사례 범주 및 분류, 개별 연구 간 비교 분석, 결과 도출 및 해석, 종합적 결과 도출 과정을 통해 영유아교사 부모 관계 과정에서의 교사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교사-부모 관계에서 부정적인 경험의 요인으로는 부모의 태도, 부모의 과도한 요구, 관계의 불균형, 교사 자신의 요인, 교사양성과정에서의 문제, 그리고 감정의 부조화가 도출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교사-부모 관계는 교사-부모 관계 경험, 대처, 그리고 전문적인 영유아교사로의 성장 세 단계의 변화 단계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교사-부모 관계의 경험에 대한 개별 질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해석함으로써 영유아교사의 교사-부모 관계의 경험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교사-부모 관계 경험 과정의 어려움 요인을 제시하고 이러한 과정을 극복해 가면서 점차 전문적인 교사로 성장해 간다는 것을 고찰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teacher-parent relationships as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erience interactions with parents, and to explore how these variables affect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ors.
Methods To achieve th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qualitative research materials regarding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relationship experiences. The analysis included 18 qualitativ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KCI listed) from 2000 to 2023. Through processes of data coding between in-dividual studies, case categorization and classification across studie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tudies, and deriving and interpreting results, the changes in teachers du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relationship process were identified.
Results First, the factors of negative experience in the teacher-parent relationship were parental disposition, ex-cessive demands of parents, imbalance in the relationship, teachers' own factors, problems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and emotional dissonance. Second, the teacher-parent relationship was shown to be a change stage in three stages: teacher-parent relationship experience, coping, and growth into a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Conclusion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in depth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and interpreting individual qualitative studies on the experience of teacher-parent relationships. We identified relevant factors linked to the teacher-parent relationship and derived comprehensiv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