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instructional factors influencing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s in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솔(Sol Choe) 이종연(Jong-Yeo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341~3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수업 요인으로 팀 구성 만족도, 과제 실제성, 교수자 피드백의 질, 과제 부담감, 평가의 적절성을 상정하고, 각 수업 요인과 팀 성과의 관계를 정서지능이 조절하는지를 밝힘으로써, 교양수업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소재 4년제 A대학에 개설된 한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72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6주간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진행하였다. 프로젝트기반학습 종료 후, 5가지 수업 요인의 질적 수준 및 지각한 팀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별, 학년 및 전공에 따라 측정변인 값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후-,프로젝트기반학습 수업 요인과 팀 성과의 관계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Process Macro v4.20의 모델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팀 구성 만족도와 팀 성과와의 관계, 평가의 적절성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지능은 팀 구성 만족도와 평가의 적절성이 비교적 낮을 때 팀 성과를 높이는데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제 실제성과 팀 성과와의 관계, 교수자 피드백의 질과 팀 성과와의 관계, 과제 부담감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조절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과제 실제성, 교수자 피드백의 질, 과제 부담감 및 정서지능의 주효과만 발견되었다.
결론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지능은 물론 팀 구성 만족도, 과제 실제성, 교수자 피드백의 질, 과제 부담감, 평가의 적절성을 고려해서 수업을 설계, 운영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팀 구성 만족도와 평가의 적절성이 확보되지 못했을 때 정서지능의 팀 성과에 대한 영향력이 커짐에 주목하여 정서지능 향상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Establishing team satisfaction, task authenticity, the quality of instructor feedback, task burden, and the appropriateness of assessment as instructional factors for project-based learn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structional factor and perceived team achievement.
Methods After conducting a pre-survey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72 students enrolled in a liberal arts course, a six-week project-based learning was implemented.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a post-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quality of five instructional factors and team achievement. Initially,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asured variable values based on participants' gender, grade, and major. Subsequently, using Process Macro v4.20 and Model 1,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based learning instructional factors and team achievement was analyzed,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as well as the appropriateness of as-sessment and team achiev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modera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was revealed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enhancing team achievement when team satisfac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assessment were relatively low.
Conclusions To enhance the success of project-based learn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s, it is evident that, in addition to emotional intelligence,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all six instructional factors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course. Atten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s devising strategies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especially when team satisfaction and assessment appropriateness are not ensu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