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Loneli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Exploration of path model among Self-Criticism and The Fear of Compa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주(HeeJu Kim) 이희경(Hee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261~2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비불안의 경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교 재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외로움 척도, 자기비난 척도, 자비불안 척도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3.0과 PROCESS macro ver.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외로움, 자기비난, 자비불안 간의 관계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외로움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비난, 타인으로부터 받는 자비불안의 직접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로움에 대한 자기자비불안의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타인으로부터 받는 자비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높은 내면화된 수치심을 가진 사람은 자기비난을 많이 하며 이로인해 타인의 자비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and pathway of self-criticism and the fear of 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of internalized shame on lonelines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340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ged 18 to 30 years old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Internalized Shame Scale(ISS), Self-Critical Cognition Scale(SCCS),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Compassion Scales, The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double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ver 3.5 program.
Results Firs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ternalized shame, loneliness, self-criticism and the fear of compassion. Second, the direct path for loneliness from internalized shame, self-criticism and the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was significant. but, the direct path for loneliness from fear of compassion for self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the pathway in which internalized shame affects loneliness, the sequential partial dual media-tion pathway of the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and self-criticism was confirmed.
Conclusion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