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가형(Ga-Hyung Lee) 정미경(Mi-Kyung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67~8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의 수도권의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3년 11월 01일부터 2023년 11월 15일까지였다. 연구대상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에 대한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 후 SPSS MACRO Model 5로 조절된 매개효과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가지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대학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사회적지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을 위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프로그램 형성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사회적지지 향상을 위한 공감대 형성 등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요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0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November 1, 2023, to November 15, 2023. The research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measurement tools for academic self-efficacy, college adaptati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data was then analyzed for moderated mediation effects using the SPSS MACRO Model 5.
Results The research analysis reveal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resilience. Furthermore,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influence college adjust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while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Conclusions Therefore, it is crucial to foster academic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nhance their resilience capacity and social support to adapt to college life eff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arget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for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need for educational and programmatic interventions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