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educational formality on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in digital literacy adult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지은(Jieun Jang) 박다해(Dahae Park) 김상혁(Sanghyuk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67~9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근년 확산하여 온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에서 교육 형식성이 교육성과로서의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을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151명에게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에서 교육 형식성을 추구하는 정도를 조사하였고 학습성과로서 그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SPSS 27.0 프로그램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에서의 교육 형식성이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에서 교육 형식성은, 디지털 역량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양적 형식성(프로그램의 체계성, 전문적인 강사, 평가 등) 보다는 질적 형식성(단계적 계속학습, 관련내용의 확장학습)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정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에서 학교교육의 형식성을 활용할 때는, 성인학습자가 앎의 질을 계속적으로 높이고 넓히는 경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질적 형식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ducational formality on developing dig ital competency, a key outcome of digital literacy learning for adults, which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We surveyed 151 adult learners with experience in digital literacy learning to assess their pursuit of formal learning structures and measured their resulting digital capabilit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 27.0 software revealed a positive impact of educational formality on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However, qualitative aspects of formality, such as step-by-step continuous learn ing and the exploration of related content, were shown to exhibit greater influence than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program structur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evalu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ult digital literacy programs opera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stress qualitative formality to foster adult learners‘ continuous improvement and knowledge growt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논의
6.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