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Homeroom Teacher on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the Lower Elementary Grad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소현(SoHyeon Kim) 박재정(JaeJe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737~7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경험을 통해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의 실제를 탐색하고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이 강화 및 활성화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신체활동교육에 관심이 있고 관련 경험이 풍부한 초등학교 저학년 담임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과 문헌 및 문서 자료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Yin의 5단계 분석적 순환을 거쳐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자료는 삼각검증법, 연구 참여자 확인, 동료 간 검토를 실시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였다.
결과 ‘신체활동으로 자라는 학생’에서 교사들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신체활동을 좋아하며, 다양하고 활발한 신체활동교육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은 물론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성장을 올바르게 이룰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러나 ‘신체활동이 버거운 교사’에서는 교사들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신체활동교육에 부담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신체활동이 필요한 교육’에서는 저학년 교육과정 내 신체활동이 부족한 문제와 학교 내에서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의 강화 및 활성화를 위하여 저학년 시기부터 기본 움직임 역량 교육의 중요성 강화, 체계적인 저학년 체육교육 실시,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환경의 개선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reality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ade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and revitalizing physical activity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Methods Four lower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interested in and experienced in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 interviews and analysis of literature and docu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Yin’s five-step analytical cycle, and the an-alyzed data were subjected to triangulation, participant verification, and peer review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In “Students Growing Up Physically Active,” teachers believed that lower elementary students love to be physically active and that diverse and active physical education can help them adjust to school life and grow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However, in “Teachers who are overwhelmed by physical activity,” teachers felt burdened and challenged to teach physical activity due to a variety of factors. In “Teaching Physical Activity Necessary,” there was a lack of physical activity in the lower elementary curriculum and a lack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in schools.
Conclusions In order to strengthen and revitaliz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 suggested strengthening the importance of basic movement competency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implementing systematic physical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improving awareness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관한 교사의 경험
Ⅳ.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의 강화 및 활성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