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nglish Subjects Differentiation Method according to Career in Academic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채리(Chae-Ri Kwon) 홍후조(Hoo-Jo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689~7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진학계 고등학교에서 진로별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진로별로 분화된 영어과 과목편제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외 진로별 영어과 교육과정이 전개되는 현상을 분석하였고, 진로별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진은 영어 교과목의 진로별 분화 설계안을 만들었고, 이를 영어 전공 또는 교육과정을 전공한 교사 130명에게 제시하여 그들의 의견을 들어 설계안을 잠정적으로 확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결과 교과의 분화 측면에서 계열 혹은 과정별 분화가 필요하며, 과목의 분화 측면에서는 영어 선택 과목을 수준 또는 기능별로 구분해야 하며, 과목 이수 측면에서는 대단위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를 토대로 인문사회 계열, 과학기술 계열, 예술 계열, 체육 계열의 영어과 과목편제표를 개발하였다.
결론 개발된 영어과 과목편제표를 통해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적성에 대한 요구에 따른 진로별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학생들은 영어 교과목을 선택하거나 이수해가면서 영어 교과의 특성에 맞는 심도 있는 학습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differentiated English subject syllabus necessary to implement a career-differentiated curriculum in academic high school.
Method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presented a career-differentiated design proposal for English subjects to 130 teachers who specialized in English or educational curriculum. The approach involved obtaining feedback from them and tentatively finalizing the design proposal based on their opinions.
Result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English subject according to career course and as the grade goes up, English subject can be further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urses that require specialization. Secondly, English subject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its level and function. Lastly, in terms of course completion system, adopting large-scale unit system will be able the career-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to operate well. Based on these results, English subject syllabuses were developed for literacy course, science course, art course, and athletics course.
Conclusions The developed career-differentiated English subject syllabus will provide students with learning op-portunities that align with their diverse career inclinations. Students will have the chance to experience in-depth learning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curriculum subjects, enabling them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their career paths through the selection and completion of English 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