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brain function index of elderly women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어혜진(Hye Jin Eo) 어해영(Hae Young Eo) 어은경(Eun Kyung Eo)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2호, 471~4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위치한 Y센터에서 여성 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2022년 10월 12일부터 2022년 11월 30일까지 총 8회기(주1회, 80분) 실시하고 프로그램 실시 전, 후의 뇌기능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1:1로 뇌기능지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뇌기능지수를 알기 위한 측정도구는 ‘한국 정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뉴로피드백 뇌파측정기를 사용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노인의 뇌기능지수 전체와 하위영역인 기초율동지수, 활성지수, 정서지수, 정신적 산만과 스트레스, 좌·우뇌 동시사용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여성의 뇌기능지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women's brain function index. The target of the study is city B.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ill be conducted for 12 female students at the Y center for a total of 8 sessions (once a week, 80 minutes) from October 12, 2022 to November 30, 2022. A 1:1 KIPA test was conducted to explain the cracking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determine the size function index, a neurofeedback loudspeaker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the 'Korea Psychiatric Research Institute'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paired samples t-test, group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men's overall brain function index and sub-areas such as sub-rhythm index, activation index, emotional index, psychological distraction and stress, and numerous brain usage rates. This study show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women's brain function index.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