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Art Play’ Experiences Based on Contemporary Art: Focusing on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선(Park Eun Sun) 박혜훈(Park Hye 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683~69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 대상 예술교육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3년제 대학에서 2022년 1학기 ‘창의적 예술교육’ 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39명을 대상으로 14주 동안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개인 포트폴리오, 예술놀이 창작 결과물 ppt, 반성적 저널이다.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을 통해 ‘내안의 예술가 발견’, ‘일상 속으로 확장되는 예술 경험’, ‘놀이 중심의 예술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주도적 예술놀이 실행을 통한 자신감 향상’을 경험하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 대상 예술교육에 있어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이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밝혔으며, 나아가 유아예술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method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art play experiences based on contemporary art.
Methods To this end contemporary art-based art play was conducted for 14 weeks for 3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Creative Arts Education’ cours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at a three-year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are personal portfolios, art play creation results ppt, and reflective journa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discovering the artist within themselves’, ‘expanding art experience into daily life’, ‘positive perception of play-centered art education’, ‘improving confidence through proactive art play practice’ through the art play based on contemporary ar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contemporary art-based art play experiences have educational value in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urther implica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