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influential factor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practice using random fores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연(Choi Ji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239~25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초⋅중학생의 독서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2021년에 조사된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초등학교 6학년), 14차년도(중학교 1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서실행 여부를 반응변수로 하고 가구, 부모, 아동, 학교/사교육에 해당하는 111개 문항을 설명변수로 하여 중요도 지수를 기반으로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부분 의존성 도표(PDP)를 활용하여 독서실행의 영향력 관계를 파악하여 보았다.
결과 독서실행을 예측하는 모델 정확도 개선 지수(MDA) 상위 10개를 알아본 결과 초등학교 6학년의 경우 성취압력, 학습활동, 교사관계, 엄격한 규칙과 지시적 분위기, 전반적 행복감, 학업스트레스, 교우관계, 학교규칙, 신체적 자아상,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의 경우 학습활동, 성취압력, 학교규칙, 교우관계, 전반적 행복감, 학업스트레스, 엄격한 규칙과 지시적 분위기, 교사관계, 신체적 자아상, 교사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중학생의 독서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은 대체적으로 부모보다 상대적으로 학교 환경에 더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 그리고 성취압력이나 학교적응 및 엄격한 규칙과 지시적 분위기가 예측된 점을 바탕으로 독서실행에 어느 정도 강제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각각 다르게 예측된 변인으로 초등학교 6학년은 ‘자아존중감’, 중학교 1학년은 ‘교사의 지지’가 예측되어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practice were explored using the random forest technique.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13th year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14th year (first year of middle school)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were used. Using reading practice as a response variable and 111 explanatory variables from household, parent, child, and school/private education surveys, factors affecting their reading practice were explored based on the importance index, and a partial dependence plot (PDP) was used. We used th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op 10 Mean Decrease Accuracy (MDA) predicting reading performance, in the case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chievement pressure, learning activities, teacher relationship, strict rules and directive atmosphere, overall happiness, academic stress,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rules. , physical self-image, and self-esteem appeared in that order. In the case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order was learning activities, achievement pressure, school rules, peer relationships, overall happiness, academic stress, strict rules and directive atmosphere, teacher relationship, physical self-image, and teacher support.
Conclusions Factors that affec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practice are generally more influenced by the school environment than their parents, and the fact that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school adaptation, and strict rules and directive atmosphere are predicted to affect reading practice. It can be seen that coercion has an effect to some extent. As for other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what was predicted by ‘self-esteem’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support’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