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nearity in Scrambled Quantificational Expressions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康美圭(Mi-gyu Kang)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28호, 95~1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뒤섞기 이동을 한 명사구가 논리형태 제시(LF representation)에서 Undoing (reconstruct) property를 갖는지의 여부에 대해 Beck & Kim(1997)의 Negation-Induced Barrier(NIB), Tanaka(1997)의 Linear Crossing Constraint(LCC), 그리고 Chomsky (1999a)의 Sem(semantic representation) 가설을 양화적 표현들(quantificational expressions)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우선, Beck & Kim(1997)은 국부적 뒤섞기의 경우 LF Undoing(Reconstruct)하지 않는다는 가설 하에 다음의 두 가지 제약을 제시한다.
(1) a. Negation-induced barrier (NIB)
The first node that dominates a negative quantifier, its restriction, and its nuclear scope is an NIB.
b. Minimal Negative Structure Constraint (MNSC) If an LF trace b is dominated by an NIB a, then the binder of b must also be dominated by a.
Tanaka(1997)의 경우는 본문 (8)-(9) 예문과 같은 양화적 표현에서의 선형성(linearity)을 중심으로 nesting A'-dependendes와 crossing A'-dependences를 이동요소의 문법성을 검증하는 제약조건으로써 제시한다.
(2) a. ti......tj......Opj......Opi
b.?*ti.....tj......Opi......Opj
마지막으로 Chomsky (1999a)의 Minimalist Program 하에서는 기존의 가설 하에 존재하던 논리형태 부문(LF component)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세 개의 하위부문으로 문법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므로 뒤섞기에 관한 기존의 LF Undoing 가설이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었다.
이러한 가설들 간의 우위성은 단거리 및 장거리 뒤섞기 이동현상 모두에서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본문 (19)-(20)의 예문들은 Beck & Kim(1997)의 가설이 포착하지 못하는 문법적 설명을 Tanaka(1997)의 LCC가 해결할 수 있음을 증명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Tanaka의 LCC가 LF Undoing 가설을 제거한 상태에서 볼 때 Chomsky (1999a)의 가설과 일치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Impossibility of Undoing
	                       
	                          2. Scrambled Quantificational Expressions
	                       
	                          3. Summary and Concl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