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Online Bilingual Shared Book Reading on Vocabulary Learning for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이용수 53
- 영문명
- The Effect of Online Bilingual Shared Book Reading on Vocabulary Learning for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조예림(Ye Rim Cho)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1, 14~2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이중언어 상호작용적 책읽기 중재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들의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는 4-6세 정상발달과 언어발달장애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들 16명이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주 2회, 3주, 총 6회기의 이중언어 상호작용적 책읽기 중재에 참여했으며 중재 후 수용어휘, 표현어휘, 정의하기 능력을 한국어, 영어, 개념적 어휘(conceptual vocabulary)검사를 통하여 어휘학습에 대한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정상발달 아동들은 한국어와영어 수용어휘, 표현어휘, 정의하기 사후평가 결과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언어발달장애 아동들은 한국어 수용어휘, 영어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이중언어 상호작용적 책읽기 중재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들의 어휘학습에 효과적이며, 언어발달장애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 정상발달 아동보다 높은 강도의 중재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bilingual shared book reading intervention on vocabulary learning for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DLD). Methods: A total of 16 Korean_English bilingual children aged 4-6 (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7 children with D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 bilingual shared book reading intervention using bridging to L1 techniques twice a week for 3 weeks, for a total of 6 sessions. Korean, English, and conceptual receptive vocabulary, express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definitions were assessed at pre and post test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n vocabulary learning.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_creas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n all measures of Korean, English, and conceptually scored receptive vocabulary, express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definitions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n measures of Korean receptive vocabulary, Englis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conceptually score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for children with DLD.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bilingual shared book reading is an effective method of vocabulary intervention for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DLD.
목차
METHODS
RESULTS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