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Expressive Vocabulary in Spontaneous Language Sample and Parent Checklist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혜지(Hyeji Kim) 이윤경(Yoon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1,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표현어휘 능력이 부모 체크리스트와 자발화 분석 방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참가자는 언어연령이 18-30개월 사이에 해당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10명과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전형적 발달 아동 10명, 총 20명이었다. 각 연구 참가자들로부터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평가(K M-B CDI) 어휘 목록과 자발화 분석을 통해 전체 표현어휘 수와 품사별 표현어휘 수를 측정하였다.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통해 두 아동 집단의 전체 표현어휘 수와 품사별 표현어휘 수를 비교하였으며,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두 방법을 통해 측정된 측정치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전형적 발달 아동들에 비해 부모 체크리스트에서는 표현어휘 수가 많았으나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한 표현어휘 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부모 체크리스트에서는 5개 품사 모두 전형적 발달 아동들에 비해표현어휘 수가 많았으나 자발화 분석에서는 체언과 용언 사용만 전형적 발달 아동들에 비해 많았으며, 수식언이나 독립언, 관계언 사용은 오히려 적었다. 또한 두 방법에서 공통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확인된 어휘 비율이 전형적 발달 집단에 비해 적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이 알고 있는 어휘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모 체크리스트뿐만 아니라 자발화 분석을 통해 실제 사용하는 어휘를 함께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vocabulary abil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using a parent checklist and spontaneous language analysi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0 children with ASD, aged 18-30 months,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language ag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vocabulary checklist and spontaneous language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vocabulary and the number of 5 word classes of vocabulary were measured and a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wo groups. Results: Children with ASD demonstrated a higher total vocabulary according to the parent checklist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spontaneous language analysis. While the parent checklist indicated higher vocabulary across all five word classes for ASD children, spontaneous language analysis revealed that they predominantly used nouns and verbs, with fewer occurrences of determiners, independent words, and relational words. Moreover, the vocabulary overlap between the two methods was lower in the ASD group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group.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hallenges faced by children with ASD in appropriately using their known vocabulary.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not only the parent checklist but also analyzing spontaneously used vocabulary in re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is integrated approach may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personalized interventions and therapeutic strategies for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S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