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feature of Korean regional statistics and desirable countermovement for its improvement
- 발행기관
- 한국지역경제학회
- 저자명
- 김지영(Kim, Ji-Young) 신현길(Shin, Hyun-Kil)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역경제연구』제12권 제1호, 139~16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지역통계 현황과 지역통계에 대한 수요, 통계청의 지역통계 정책과 함께 지역통계가 부족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내용으로 한다. 지자체 실시 이후 20여년이 경과하였으나 지자체가 필요한 지역통계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선행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는 지자체의 지역통계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인력 및 예산 투자 부족, 전국단위 통계의 지역별 표본수 부족, 행정자료 활용 불충분, 지역통계 DB구축 부진 등에 기인한다. 현재 상황에서 현실적 대안으로는 지역통계 표본설계 확충, 지역 행정자료 활용, 지역통계 DB체계 구축, 마이크로데이터 활용, 소지역추정기법 활용, 광역권통계·기초단위구통계 활용, 지역통계 편제용역기준 제정, 통계컨설팅 지원 요청, 지자체별 통계위원회 운영, 지자체 통계 인력 및 예산 확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summarize the current feature of Korean regional stetistics, and check if there is any field to be needed to be amend, and look into how we could supply more sufficient regional statistics for regional government and research entity, and improve the Korean regional statistics environment. Korean regional statistics can be improved through strengthen regional sample in national level statistics, and using local government internal data, and building DB system for regional statistics, and utilizing micro data and small area estimation technique, and adopting regional zones statistics system and enabling basic statistical zone statistics utilizatation. We suggest some amendment about setting standards of statistical service business, and asking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onsulting service, and establishing regional statistics commission by each local government. and strengthen man power and budget of statistical department of local governme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지역통계 수요와 관련 제도
Ⅳ. 지역통계 현황과 사례분석
Ⅴ. 지역통계 개선방안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