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ng Multi-Attributes for Adaptive Capacity in Agricultural Secotors: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지역경제학회
- 저자명
- 이상호(Lee, Sang-Ho)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역경제연구』제10권 제2호, 107~12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전문가와의 델파이 기법을 바탕으로 4개분야 22개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능력의 속성들을 계층화함으로써 문제를 구조화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경제적 능력, 물적 인프라, 사회적 자본, 제도적 역량 등 네가지 평가기준 가운데 경제적 능력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즉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의 적응능력 중 경제적 능력을 가장 중요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전문가들의 경우 전체 개별 속성 가운데는 지역내총생산(0.133), 농업예산(0.112), 경지정리비율(0.110) 등이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평가되었다. 즉 경제적 능력 중 농업부문의 예산이 기후변화 적응능력의 주요 잣대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물적 인프라 중에서는 경지정리비율이 높은 가중치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aper is to analyze multi-attributes for adaptive capacity in agricultural sectors which have economic, physical infra, social capital, and institution factors consisting of 22 attributes which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We appli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data from opinion polls. As a result of the AHP survey,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pondents more weight on economical factor than physical infra, social capital, and institution factors for adaptive capacity in agricultural sectors. At the lowest level, a comparison of individual 22 attributes within three factors shows that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GRDP) highest in multi-attributes, followed by agricultural budget.
목차
Ⅰ. 서론
Ⅱ.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 선정
Ⅲ. 계층적 의사결정방법
Ⅳ. 분석 절차와 실증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