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elf-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a Experienced Teacher's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정희(Ha, Jeo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7호, 879~8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력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의 어려움에 대한 자기성찰을 통하여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기존의 교육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을 모두 교육실천한 경험이 있는 퇴직한 유아교사 1명을 대상으로 교사 자신의 경험과 내면, 그리고 유아, 동료교사 등 관계를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나선형 분석 방식으로 반복적이며 순환적인 과정으로 자료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경력교사는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에 혼란을 느끼고 있었고 교사로서의 자신을 돌아보면서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돌아봄으로써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는 인식의 확대’를 보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찾아갔으며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인식을 발견하는 등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스스로 형성했다.
결론 경력교사는 자기성찰을 통해 교육과 실천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경력교사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관계를 통한 성찰과 배움이 일어나는 동료교사 모임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perception through self-reflection on the difficulty of practicing the play-based curriculum of experienced teachers.
Method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one retired early childhood teacher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and practicing both the existing curriculum and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teacher's own experience, inner life, and relationships such as infants and fellow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a repetitive and cyclical process in a spiral analysis method.
Results The experienced teacher was feeling confused about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play supporter and looked deeply at herself and her fellow teachers. In this process, she found a new perspective on the role of teachers i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discovered an educational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she was creating.
Conclusions Experienced teachers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 of education and practice through selfreflection. There is a need for support centered on experienced teachers who can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through self-reflection. In addi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we propose a group of fellow teachers where reflection and learning through relationships take pla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