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multidisciplinary team teaching education to improv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nursing information and digital converg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연이(Yeon I,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7호, 593~60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정보와 디지털융합’ 다학제간 팀티칭교육을 통해 교육 전후의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3월 17일부터 5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R 4.2.2 version을 활용하였으며, 변수의 특성에 따른 기술통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사전과 사후에서의 간호정보 활용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근거 기반 실무역량이 매개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로분석 후 sobel test로 분석하였으며, 경로분석을 위하여 lavaan package의 sem function 및 sobel test를 위하여 multilevel package의 sobel function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다학제간 팀티칭’ 교육 전과 후의 간호정보활용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및 문제해결능력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5). 둘째, ‘다학제간 팀티칭’ 교육 전과 후의 간호정보활용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간호정보활용능력과 문제해결능력, 근거기반실무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은 양의 상관성유의하게 높아졌다(p<.001). 셋째, ‘다학제간 팀티칭’ 교육 전과 후의 근거기반 실무역량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간호정보활용능력의 매개효과는 교육 전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매개효과도 없었으나, 교육 후에는 간호정보활용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B=.431로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력을 주었고, sobel test 결과 p<.001 수준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정보와 디지털융합’ 다학제간 팀티칭교육을 통해 교육 전후의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하여 간호정보 관련 교과목 운영 시 다양한 전공과의 융합을 통한 다학제간 팀티칭 교육을 위한 교육설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education through ‘Nursing Information and Digital Convergence’ multidisciplinary team teaching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e of second-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17 to May 30, 2023. The collected data was used in R 4.2.2 version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sobel test after path analysi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vidence-based practical competency in the influence on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pre and post test. For the sem function and sobel test of the lavaan package, the sobel function of the multilevel package was used.
Results First,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evidence-based practic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ll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before and after multidisciplinary team teaching. Seco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and evidence-based practical competency,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evidence-based practic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multidisciplinary team teaching increased significantly. Third, the impact of information literacy on problem-solving ability was B=.431, which g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at the p<.001 level, and the Sobel te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at the p<.001 level.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evidence-based practic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eaching through the ‘Nursing Information and Digital Convergence’ multidisciplinary team teach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design for multidisciplinary team teaching educa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various majors was necessary when administering nursing information-related 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