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social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기순(Choi ki s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7호, 579~5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제시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각각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 6개 고등학교의 남녀 519명에게 자기제시동기척도, 청소년용 사회불안척도, 자존감 척도와 자존감 안정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18.0과 PROCESS macro 3.3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제시동기와 사회불안,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은 모두 유의한 상관 관련을 보였다. 자기제시동기는 사회불안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자존감 및 자존감 안정성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사회불안과 자존감, 사회불안과 자존감 안정성은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제시동기와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은 고등학생의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제시동기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고 자존감 안정성은 조절 효과를 나타내지 못 하였다.
결론 고등학생의 자기제시동기가 사회불안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자존감의 조절 효과와 고등학생이 가지는 자존감 변동성의 특성을 참조하여 상담 장면에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self-presentation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social anxiety.
Methods To this end, 519 men and women from six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the self-presenting motivation scale, youth social anxiety scale, self-esteem scale, and self-esteem stability scal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and PROCESS macro 3.3.
Results Firs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stabil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directly affected social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social anxiety,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nd self-esteem stability did not.
Conclusions Understand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self-presentation motivation on the occurrence of social anxiety, and use it in counseling scenes by referring to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lf-esteem volat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