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previou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New Sports Practical and Teaching Methods’ major class using LMS reflective writ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정아(Jeonga K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7호, 115~1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K대학교에서 LMS 성찰 글쓰기를 활용한 ‘뉴스포츠 실기 및 지도법’을 수강한 체육 심화 전공 초등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2023년 3월 2일부터 6월 8일까지 15주 동안 주 2시간씩 성찰 글쓰기를 활용한 뉴스포츠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 참여한 초등 예비교사가 LMS에 작성한 성찰 글과 한 차례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귀납적 범주분석 하였다.
결과 성찰 글쓰기를 활용한 뉴스포츠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 참여한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을 살펴보면 첫째, 운동기능이 낮은 초등 예비교사도 뉴스포츠에 적은 부담감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뉴스포츠의 매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뉴스포츠의 내재적, 외연적 가치를 습득했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 연습 과정에서 뉴스포츠 종목에 대한 실천적 지식뿐 아니라 교수 방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해 수업 설계 및 운영의 안목을 증대할 수 있었다. 넷째, 근대스포츠에만 한정되었던 학교체육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체육수업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다섯째, 성찰 글쓰기를 통해 수업 참여 과정에 대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반성 및 성찰의 시간을 반복하면서 미래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
결론 LMS 성찰 글쓰기를 활용한 뉴스포츠 실기 및 지도법은 초등 예비교사에게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직전 교사 교육기관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운영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new sports practical skills and teaching method’ using LMS reflection writing at universities.
Methods For 15 weeks from March 2 to June 8, 2023, the reflective essays written by elementary school preparato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New Sports Practical Skills and Teaching Methods class using reflective writing for 2 hours a week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one in-depth interview were inductively categorically analyzed.
Results The experience of the primary pre-service teacher who participated in the new sports practical skills and teaching method class i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otor skills were able to discover the charm of new sports as they participated in new sports with less pressure. Seco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cquire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 of new sport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expand their practical knowledge of new sports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teaching methods in the course of class demonstration exercises, thereby increasing their perspective on lesson design and management. Fourth, it broke away from school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limited to modern sport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operation of various physical education classes. Fifth, through reflective writ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improve their expertise as a future teacher by repeatedly having active and subjective reflections on the process of class participation.
Conclusions Because the new sports practice and teaching method using LMS reflective writing provides meaningful experience t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desirable for it to be oper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of immediat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