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family-of-origin health on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women: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coping style by optimism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원종숙 류진아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20호, 175~20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기혼여성의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대처방식의 매
개효과를 확인하고, 낙관성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46
세~65세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0.0과 Process macro 4.1
을 이용하여 총 3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가족 건강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에서 갈등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이성적 대처가 완전매개를 보였다. 둘째, 원가족 건강성과 갈등대
처방식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는 이성적 대처와 신앙에 의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
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원가족 건강성과 결혼만족도 사이에서 낙관성에 의한 이성적 대처
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낙관성의 수준에 따른 간접효과 검증에서는 낙관성
이 +1SD일 때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갈등상황에서 이성적 대처가 중년여성의 결혼만
족도를 위한 중요한 대처방식이며, 낙관성을 통해 이성적 대처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coping style on
how middle-aged women’s family-of-origin health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and determined the mediating effect moderated by optimis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arried women aged 46-65,
and data from 396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Process
Macro 4.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conflict coping styles, the rational coping style successfully medi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health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optimism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rational coping style and reliance on faith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health and conflict coping style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rational coping moderated by optimism was significant between the
family-of-origin health and marital satisfa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