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Media Education Experience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ung Kim) 이은주(Eun-Ju Lee) 윤유라(Youra 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2호, 35~5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하에서 개인의 정보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육 경험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의 하위 구성요소가 정보추구 행동(검색과 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대학생 총 22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정서와 참여, 비판적 읽기는 검색행동과 공유행동에 정적(+)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나, 가치는 공유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 교육 경험은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 경험이 모두 정보추구 행동(검색과 공유)에 정(+)적 영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후 적극적인 정보추구 행동을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서와 참여, 비판적 읽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에 단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s that affect individual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n a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To this end, we used digital literacy and media education experi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to investigate how the sub-components of each variable affect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search and sharing). As a result of the study, ‘affect’, ‘participation’, and ‘critical reading’, which ar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earch behavior and sharing behavior, but ‘valu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sharing behavior. Both school and home media education experi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a basis for how to use digital literacy and media education experiences to strengthen futur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