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trength-based Parent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경(Kim, Nakyung) 박지연(Park, Jiyeo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4호, 47~7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위한 강점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를 기반으로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효과의 검증을 위해 6∼12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 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가정에서의 예방・교수・강화(PTR-F)의 절차와 긍정심리치료 실습 및 해결중심상담 기법 요소를 반영하고,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국외 증거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전달방식을 검토하여 집단교육과 개별지원을 병행하고 온라인 코칭을 실시하는 10회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이 부모의 행동지원 효능감, 주관적 안녕감,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각 종속변인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 대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종속변인에서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mplement, evaluate a strength-based parent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families. A total of nin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between six and 1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and incorporates the procedures of Prevent-Teach-Reinforce for Families(PTR-F), along with practical exercises in positive psychotherapy and techniques from solution-focused counseling as components. By reviewing the delivery methods of evidence-based parent training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the program integrates both collective instructional sessions and personalized guidance; it also facilitates parental implementation via online coaching.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parental efficacy in behavior suppor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arents, the positive perceptions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parents, as well as the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utilized to measure changes from pre- to post-test for each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ependent variables both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Along with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