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Youth Film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Focusing on KOFIC Policy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오세섭(Oh, Se Seop) 이아람찬(Lee, Aramchan)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4호, 183~21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0년대 이후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교육 정책연구를 중심으로, 영화 공교육 활성화 정책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의의와 한계를 짚어본 뒤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교육 정책연구는 영화 공교육을 공론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화교육 교육과정을 구축했으며, 영화교육 중점학교를 운영하는 등의 성과도 있었다. 그러나 한계도 존재한다. 연구 결과를 뒷받침할 실행력이 미흡했으며 영화교육 중점학교 또한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한 채 중단되고 말했다. 또한 영화교육에 대한 영화진흥위원회의 인식이 산업적 차원에서 머무르고 있다는 아쉬움도 있다. 향후 영화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가용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정책연구와 교재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둘째, 교‧강사 네트워크 구축에 노력해야 한다. 셋째 영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영화진흥위원회가 지금까지 추진했던 영화교육 정책의 아쉬운 점을 보완하고 영화 공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 방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Korean Film Council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research since the 2010s. Our examination delves into the policies aimed at revitalizing film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by highlighting their significance and identifying limitations, and ultimately proposes a new plan. Initially,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research is noteworthy for its role in making film education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Achievemen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film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operation of a film education focus school. However, certain limitations exist. The implementation capacity to support the research findings was insufficient, and the film education focus school was discontinued without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ansion. Additionally, there is a sense of regret regarding KOFIC’s perception of film education, which remains predominantly at the industry level. A shift in policy is therefore imperative to rejuvenate film education in the future. The proposed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focus should be on policy research and textbook development, effectively utilizing currently available resources. Second,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establishing a robust network of teachers and lecturers involved in film education. Third, a fundamental shift is needed in the perception of film education. By implementing these changes, we aim to address the shortcomings identified in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and pave the way for a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approach to public film educ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교육 정책 동향
3.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교육 정책 전환을 위한 제언
4.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