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related to Fall inc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숙희(Yoon, Sook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287~2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대상 낙상의 위해정도를 파악하고 낙상의 위해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낙상예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2021년, 2022년 환자안전보고데이터에서 요양병원의 낙상사고를 대상으로 총 2,906건의 자료를 분석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낙상의 위해 정도는 근접오류 24.9%(724명), 위해사건 39.7%(1,152명), 적신호사건 35.4%(1,030명)이었다. 낙상의 위해정도는 성별, 사고발생장소, 병상규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의 위해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활⋅물리치료실, 휴게공간이었고, 적신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샤워실 이었다.
결론 요양병원의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낙상예방을 위한 시스템과 물리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또한, 조직차원에서 차별화된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원 및 입원환자 대상 주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risk of fall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Methods This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that analyzed a total of 2,906 cases using fall incident data from long-term care hospitals in the 2021 and 2022 patient safety reporting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program.
Results Among the fall incidents, 24.9%(724)were near misses, 39.7%(1,152) were adverse events, and 35.4% (1,030) were sentinel events. The degree of harm of fall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location where safety incident occured, and bed size. In addition, adverse events was associated with rehabilitation⋅physical theraphy room, resting area and factors affecting sentinel events were gender and shower room.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fall prevention system and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ifferential fal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conduct periodic education for employees and in hospital pati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