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reinforcement experience of smartphone usag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영(Eun Young Kim) 김지영(Ji Young Kim) 박선영(Sun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275~28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보상 경험이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지향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 조절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남녀 대학생 437명을 대상으로 보상경험 척도,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척도, 대인관계 지향성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수집한 데이터를 SPSS 25.0,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였고, Bootstrapping(=신뢰구간 95%에서 10,000회)를 통해 매개효과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스마트폰 보상 경험과 중독 경향성의 관계는 유의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보상 경험과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자기 조절력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이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향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 조절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결론 스마트폰 보상 경험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력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의해 조절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관련된 각 변인 관계에 대해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문제로 내원한 내담자들에게 실질적인 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i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thods To study thi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on 437 people aged 19 to 25 to measur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role of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between the effect of reinforcement experience of smartphone usag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14)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self-regulationl and interpersonal ability between reinforcement experience of smartphone usage on smartphone and addiction tendency.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reinforcement experience of smartphone usage on smartphone and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addiction tendency.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uggesting that treat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from various persp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