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of play-centered curriculum: Using photovoi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은(Lee, Ji-eun) 김영숙(Kim, Young-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191~20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반하여 영아교사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경상북도 G지역의 S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아반 담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연구참여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여 함께 논의하면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며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선택하기, 맥락화하기, 범주화하기의 절차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영아교사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인식의 하위 범주는 삶으로서의 놀이, 놀이가 주는 긍정적인 감정, 놀이의 특성,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 성장을 위한 변화, 교사의 상호작용, 부모와의 협업이다. 이는 아이의 어제와 오늘이 되는 놀이중심 보육과정, 아이의 기가 사는 놀이중심 보육과정, 아이가 아이답게 자라는 놀이중심 보육과정, 울림과 소통으로 가능한 놀이중심 보육과정으로 최종 범주화 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이 영아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중요한 과정이며, 교사와 부모의 협력이 그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함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wareness of infant teachers regarding play-centered curriculum practices, based on the emphasis on ‘a play-centered curriculum’ i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Methods To achieve this,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with 10 lead teachers in infant classes from childcare centers in the G region of Gyeongsangbuk-do. The participants utilized photos they captured themselves to collect research data, engaging in discussions and expressing their voice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nalysis procedures of selection, contex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Results Subcategories of infant teachers' awareness of play-centered curriculum practices emerged through this study, including play as a way of life, positive emotions from play, characteristics of play, new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change for growth, teacher interactions, and collaboration with parents. These were categorized as play-centered curricula shaping the child's past and present, vibrant play-centered curricula fostering the child's uniqueness, and resonant communication-driven play-centered curricula.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ignificant to highlight that play-centered curriculum practices contribute to suppor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enhancing their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