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tial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효식(Choi, Hyosik) 연은모(Yeon, Eun M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119~1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잠재집단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시기의 잠재집단 구분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13차(2020년) 데이터의 1,203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12차(2019년, 초 5) 데이터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을 기준으로 이전 시점에 해당하는 자료이며, 13차(2020년, 초 6) 데이터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을 기준으로 이후 시점에 해당하는 자료이다. 3단계 추정 방법(three-step approach)에 기초하여 잠재전이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전 시기인 초등학교 5학년 학교적응의 잠재집단은 ‘보통 적응(727명, 60.4%)’과 ‘높은 적응(476명, 39.6%)’의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후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학교적응의 잠재집단은 ‘보통 적응(744명, 61.8%)’, ‘낮은 적응(76명, 6.3%)’, ‘높은 적응(383명, 31.8%)’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보통 적응 잠재집단 중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보통 적응 잠재집단으로 전이될 확률(76.4%)이 가장 높았으며, 높은 적응(12.7%), 낮은 적응(10.8%)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높은 적응 잠재집단 중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높은 적응 잠재집단으로 전이될 확률(61.3%)이 가장 높았으며, 보통 적응(37.0%), 낮은 적응(1.7%)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팬데믹 전 시기인 초등학교 5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창의적 학교환경, 모애착, 자아탄력성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후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창의적 학교환경, 자아존중감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코로나19 팬데믹 전 시기인 초등학교 5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후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으로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미디어 기기 중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있어 학교환경, 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중요하며, 특히 미디어 기기 중독 수준이 높은 초등학생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상황에서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atent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aptation is classifie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hat variables affect the classification and transition of the potential latent group.
Methods Latent Transition Analysis based on three-step approach was conducted to analysis changes of 1,203 students between 12th and 13th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Results First, before the COVID-19 pandemic period,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r school adaptation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verage adaptation’ and ‘high adaptation’.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r school adaptation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verage adaptation’, ‘low adaptation’, and ‘high adapt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period. Second, students who were in 5th grade in ‘average adaptation’ group has 76.4% probability of being transferred to the potential latent group in ‘average adaptation’ in 6th grade. Students who were in 5th grade in ‘high adaptation’ group also has 61.3% probability of being transferred to the potential latent group in ‘high adaptation’ in 6th grade. Third, creative environmental environment, parental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have influence on classification of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r school adaptation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before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after the COVID-19 pandemic, only creative environmental environment and self-esteem had influ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urth, media device addiction presented influence on the transition from before the after COVID-19 pandemic period.
Conclusions School environment, parental attachment,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are important in school adapt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etween COVID-19 pandemic and media device addiction may lower school adaptation during pandemi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