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K-project Subjects Using Flipped Learning: Focusing on Career Motiv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Adapt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Jo, Hye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교육과 K-project 교과의 효과성을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알아 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SPSS 25.0을 이용하여 충청도 소재지 A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중 K-project 교과를 수강한 40명을 대상으로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 사전 평균점수와 사후 평균점수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변인의 경향성(평균, 표준편차)과 정규성(왜도, 첨도)을 분석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사전 평균점수와 사후 평균점수의 차이검증으로 분석되는 만큼 짝지어진 표본 검증인 대응표본 T-검정으로 95% 신뢰구간에서 확인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측정변인별 기술통계치를 분석한 결과 정규성을 만족하였고,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교육과 K-project 교과가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볼 때, 본 교과의 효과성이 검증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에게 K-project 교과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으로 본 교과의 교육과정을 환류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가 K-project 교과를 통해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교육과 K-project 교과;진로동기;진로준비행동;진로적응성;예비유아교사;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K-project Subject Using Flipped Learning;Career Motivation;Career Preparation Behavior;Career Adaptability;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K-project subjects using flipped learning, focusing on career motiv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adaptability.
Methods For this, SPSS 25.0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re-average score and post-average score of career motiv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adaptation for 40 early childhood department students who took the K-project course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do. The tendency (M, SD) and normality (skewness, kurtosis) of study variables were analyzed, and reliability was presented as Cronbach's alpha. As this study was analyzed by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average score and the post-average score, it was confirmed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by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hich is a paired sample verification.
Results These are the main finding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measurement variables, it satisfied the normality, and the post-average score had improved, compared to the pre-average score. Second,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K-project subjects using flipped learning on career motiv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at the post-average score had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average sc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is subject has been verified.
Conclusion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K-project subjec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refluxing the curriculum of this subj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specific way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plore, plan, and practice their careers through the K-project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