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etry creation education plan using movement-imag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박한라(Park, hanra)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1호, 467~4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국문 초록
본고는 운동-이미지를 활용하여 시 창작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시 창작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전제 조건은 학습자가 기존의 의미나 통념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사유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는지에 있다.이러한 점에서 ‘운동-이미지’는 열린 전체를 구체화하기 위한 사유 방법으로 유용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시 창작 프로그램은 ①운동-이미지 이론을 통해 시를 이해하기 → ②미세지각을 통해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움직임을 발견하고 묘사하기 → ③미세지각을 통해 현재에서 미래로 나아가는 움직임을 발견하고 묘사하기 → ④시 정리하기및 평가하기 순으로 구성된다.사례 분석을 통해 드러난 운동-이미지를 통한 시 창작교육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첫째,문학 전공이 아닌 학습자도 기존 ‘전체’에서 벗어나새로운 ‘전체’로 나아갈 수 있는 운동-이미지에 대한 사유를 통해 시 문장을 구사할수 있었다.두 번째,보이지 않는 운동으로서의 질적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통찰력이 향상될 수 있었다.세 번째,시 창작에 대한 향유 활동을 감성이 아닌 ‘운동’의 지속에 대한 사유로 접근함으로써 감성이 부족한 학습자도 흥미롭게 따라올 수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teaching poetry creation using movement-image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poetry creation education is the possibility of educating learners to detach from existing meanings or common notions and embrace new meanings. In this respect, “movement-image” is an effective approach to thinking that materializes an open whole. The poetry creation program presented in this paper comprises: ① understanding poetry through movement-image theory → ② discovering and describing past movements through micro-perception → ③ moving into the future and describing an open whole through the movements of micro-perception → ④ organizing and evaluating poetry. The effects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through movement-images revealed through the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ven learners not majoring in literature were able to use poetic sentences through thinking about movement-images to detach from the existing “whole” and move toward a new “whole.” Second, understanding qualitative change as an invisible movement potentially enhances insight into the subject. Third, even learners who lack emotion were able to follow along with interest by approaching the enjoyment of poetry creation as a reason for the continuation of “movement” rather than emotion.
목차
1. 서론
2. 질적인 변화를 위한 운동-이미지의 활용
3.‘ 운동-이미지’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및 적용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