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Invention Unit Textbook Research Using Actor-Network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아름 최유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1호, 95~1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발
명 단원 교재 연구와 관련된 사회 물질적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초연구,
면담자 선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연구 결과 정리의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의도적 표본추출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면담 질문은 수업의 주안점, 수업 공동체, 매체
활용, 교사의 경험,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환경 조성 총 6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검증과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
구 참여자에 대한 면담 내용을 전사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개방 코딩(Open Coding)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Actor-Network Map으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발명 단원 교재 연구의 모습을 행위자-네
트워크 이론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행위자-네트워크 지도(Actor-Network Map)로 분석 내용을
시각화하였다. 처방의 공간(spaces of prescription)과 협상의 공간(spaces of negotiation)에서 의무
통과점(Obligatory Passage Point, OPP)인 교사를 거쳐 다양한 행위자(Actor)들이 ‘교재연구’라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었다. 둘째, 행위자-네트워크 지도(Actor-Network Map)를 바탕으로 초
등교사의 발명 단원 교재 연구 모습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행위자(Actor)가 ‘교재 연구’
라는 네트워크의 결속을 강화 또는 저해하기도 하며, 다른 행위자(Actor)를 네트워크로 끌어들
이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명 단원 교재 연구를 교사의 역량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사
물, 기술, 제도 등 다양한 비인간 물질이 얽힌 복합적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이론
을 활용한 발명 단원 교재 연구의 모습 고찰을 통해 발명 교육의 확장적 이해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ocio-material network associa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ntion unit textbooks through the lens of Actor-Network Theory.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process involved basic research, interviewer
selection,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a summary of the resul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the interview questions covered six areas: class focus, class
community, media use, teacher experiences,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class environment creatio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verific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data comprised transcribed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via open coding and visualized as
an Actor-Network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through an actor-network theoretical perspective, visualizing
results through an Actor-Network Map. In the spaces of prescription and spaces of negotiation,
various actors, including teachers who were the Obligatory Passage Point (OPP), were forming a
network called “Textbook Research.” Second, based on the Actor-Network Map, the study analyz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Actors were found to occasionally strengthen or weaken the cohesion of the network
“Textbook Research” while also attracting other actors into the network.
This study confirms that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is not solely a measure of teacher
competency but a complex web of relationships involving various non-human substances such as
humans, objects, technologie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it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vention education by examining the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using various theor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