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Blended Learning Approaches for Practical Arts Subject using Metaverse Platfor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광렬 강인구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블렌디드 학습을 실과 교과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과정에서 예비교사에게 메타버스를 활용한 블렌디드 학습 방
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이에 대한 사용 경험, 적용성, 효과성, 활용 의지 등에 대해 설
문을 실시하여 통계분석에 의한 시사점과 현장 교사의 멘토링을 통한 수업 설계를 수행한
산출물을 제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 대상의 실과 교과 수업에서 대면과 비대면 구분 없이 수업에서의 메타버
스 활용이 상호작용 및 흥미유발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메타버스 및 블
렌디드 수업 경험 후에 실과 교과의 이론 및 실습 교육에 대한 블렌디드 학습 효과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흥미유발, 몰입도에 대해서는 수업 전부터 이미 긍정적인 인
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에 대한 메타버스 활용 수업 경험이 난이도와 기술적인 어려움에 대해 생
각의 변화를 주지는 못했지만 추후 자신의 수
업에 활용할 의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메타버스 활용 수업 경험과 현장 교사의 지도를 통한 실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체험 위주, 상호작용 강화, 임베드 기능의 연계 등의 메타버스를 활
용한 학습 방안과 유의점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에듀테크를 활용한 실과교육의 학습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향후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의 학습 자료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applying blended learning using Metaverse to practical and
subject-based education. The research process involved conducting classes with prospective teachers
using a blended learning method with Metaverse. Subsequently, we surveyed participants to assess
their experienc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its effectiveness, and their willingness to use it.
and provided implication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mentoring by fiel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lesson design are as follows.
First, using the Metaverse in Practical Arts subjects classes proved effective in stimulating
interaction and interest among prospective teachers, regardless of whether the setting was
face-to-face or non-face-to-face. Following their exposure to the Metaverse and blended classes, the
practical subject matter was found to be effective. There was a more positive response regarding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on both theory and practical education. Moreover, a positive
perception of its ability to enhance interest and immersion appeared to have existed even before the
classes.
Second, whil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using the Metaverse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ir opinions on difficulty level and technical challenges, it positively affected
their willingness to use Metaverse in their own classes in the future.
Third,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based on class experiences with
the Metaverse and guidance from field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specific learning methods and
considerations for using the Metaverse were proposed. These include an emphasis on experience,
enhancing interaction, and linking embedded functions.
We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research on Eduech-based learning method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based on various
Metaverse platform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