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after-school curriculum operation of afternoon reorganization through reflective journal of novice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유정(Sin, Yoo-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869~8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반성적 일지를 통해 오후 재편성 방과후과정의 운영 모습과 관련된 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방과후과정을 운영하는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과 방과후과정 현장 운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사립유치원에서 방과후과정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J교사이며, 방과후과정 운영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자발적으로 반성적 일지를 작성하게 되었다. 2022년 5월 16일부터 8월 26일까지 16주간, 총 54회의 반성적 일지를 작성하였고, 연구자와의 유선통화,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더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결과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반성적 일지에서 나타난 오후 재편성 방과후과정의 모습은 민감한 돌봄의 제공, 다양한 행동지도 전략의 시도, 유아가 주도척으로 참여하는 놀이의 하위 범주로 분석되었다. 오후 재편성 방과후과정을 운영하는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있어 반성적 일지 쓰기의 의미는 나를 바라보기, 미래를 상상하기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성찰을 즐기는 모습이 나타났다.
결론 방과후과정의 질적 향상을 위해 방과후과정의 다양한 운영 모습에 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며, 초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반성적 성찰의 과정을 장려해야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phenomen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fternoon reorganization after-school course through the reflective journal of novice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this, we intend to seek measures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novice teachers who operate after- school courses and alternatives to strengthen support for the field operation of after-school courses.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Teacher J, who works as an after-school teacher at a private kindergarten, and voluntarily wrote a reflective journal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after-school courses. A total of 54 reflective diaries were prepared for 16 weeks from May 16 to August 26, 2022,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adding data collected through wired calls and interviews with researchers.
Results The afternoon reorganization after-school course, which appeared in the reflective journal of a novice teachers in a private kindergarten, was analyzed into subcategories of providing sensitive care, attempting various behavioral guidance strategies, and play in which infants participate as the lead. For a novice teachers at a private kindergarten who runs an afternoon reorganization after-school course, the meaning of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is that I have the opportunity to look at myself, imagine the future, and enjoy refle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after-school cours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various operations of after-school courses, and the process of reflective reflection should be encourag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novic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