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on adjusting to school lif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현지(Song Hyeon Ji) 권미영(Kwon Mi Young) 최보영(Choi Bo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741~7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J지역에 소재한 고등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8일부터 2022년 12월 2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SPSS 18.0과 PROCESS Macro 4.2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의 검증정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검증을 위해 Sobel Test와 Boorstra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즉,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역할의 중요성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n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al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Methods In this regard, targeting 324 high-schoolers residing in J-province, we applied descriptive statistics techniques, correlation anaysi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within the variables.
Results The re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while revealing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adaptation to school life expo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was verified to function as full mediation in the case that academic stress affected adaptation to school life. Namely, this could lead to the interpretation that acedmic stress would be helpful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Conclusions This study comes up with the implication in that it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and adaptaton to school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