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rt activities contents based on video media to promote the creativity for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우(Choi, Ji-woo) 박윤미(Park, Yun-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639~6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상시청과 함께 미술놀이라는 실제 활동을 병행하는 유아동 대상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적합성 및 효과성을 입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맥락학습 관점의 내러티브기반, 사례기반, 문제기반 학습 요소를 바탕으로 창작동화 ‘집배원 보보씨’를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더불어 영상시청 후 실시할 미술놀이 프로그램을 창의성 증진을 중점으로 설계하여 콘텐츠를 완성하였다. 이후, 경기도 P시에 위치한 D지역아동돌봄기관의 8세~10세 아동 6명에게 콘텐츠 현장적용을 위한 모의시행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미술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에 앞서 콘텐츠를 이해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에 영상매체 적용이 효과적이었다. 둘째, 미술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에 앞서 영상에 나타난 이야기나 등장한 요소를 통해 미술놀이 프로그램으로 이어지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콘텐츠와 맥락학습 간 연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영상매체 기반 미술놀이 콘텐츠가 유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이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맥락학습과의 연계를 통한 영상매체 기반 미술놀이 프로그램이 유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its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by developing contents for children that perform actual activities such as art activities along with video viewing.
Methods For this, based on the narrative-based, case-based, and problem-based learning elements of contextual learning, a creative fairy tale, “The Postman Bobo”, was produced as a video. In addition, the contents were completed by designing an art activities program to be conducted after watching the video focusing on promoting creativity. After that, six children aged 8 to 10 at a child care institution in D area located in Gyeonggi-do were simulat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ntent in the field.
Results First, the application of video media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inducing voluntary participation before conducting the art activities program. Second, prior to conducting the art activities program, stories or elements that appeared in the vide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ding to the art activities program,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nection between content and context learning. Third, the video media-based art activities contents was effective in that it was an activity that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of childre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video media-based art activities program through linkage with context learning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creativity of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영상매체 기반 유아동 미술놀이 콘텐츠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