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Professors for Utiliz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University classes: Focusing on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주연(Park, Ju-Yeon) 남영옥(Nam, Yeong-Ok) 채소린(Chai, So-L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455~46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수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 소재 K대학 교수 126명의 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고,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수업 준비, 수업 방식, 수업 평가 영역별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결과 수업 설계, 수업 방식, 수업 평가 영역 중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 영역은 수업 설계였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수업 설계에서는 ‘수업자료 제작’과 ‘수업내용 구성’이, 수업 방식에서는 ‘프로젝트 수업’과 ‘팀 기반 수업’이, 수업 평가에서는 ‘리포트 평가’와 ‘서술형 평가’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대학 수업에서 생성형 AI의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최우선적으로 교수 설계 영역에 대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professors for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in universities.
Methods Data from 126 professors at K University in Seoul were collected online. The prioritization of educational needs in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methods, and class evaluation areas was determin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paired-sample T-tests,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Among the area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methods, and class evaluation, instructional design emerged as the highest in educational needs. Subfactors revealed that in instructional desig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organization of instructional content’ were prioritized. In teaching methods, ‘project-bas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took precedence. In class evaluation, ‘report assessment’ and ‘descriptive assessment’ rankings were high.
Conclusions To enhance the integration of generative AI in university classes, prioritized support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design is essential. Specific support measures are propo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