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tiliza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Using Metaverse Platfor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문수(Moonsoo Chang) 성미영(Miyoung S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307~31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재난안전 교육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후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게더타운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게더타운 플랫폼에 메타스쿨 가상교실을 만들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재난안전 교육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을 디자인하였으며, 공간의 특성에 맞게 주제별 재난안전 교육콘텐츠를 탑재하였다.
결과 첫째, 게더타운 플랫폼에 메타스쿨 공간을 마련하여 로비 공간, 교육공간, 모둠 활동 공간, 전시 공간을 구성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로비 공간에 등교한 다음 교육공간에서 재난안전 주제별 수업자료를 공유하였고, 모둠 활동 공간에 협업도구를 연결하여 모듬별로 활발한 토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모둠 활동 결과를 전시하도록 전시 공간을 마련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 관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이 급증한 상황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기존의 재난안전 교육콘텐츠를 재난안전 주제별로 탑재하고, 메타버스 플랫폼에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관련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재난안전 교육콘텐츠를 구축한 초기 사례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utilize the metaverse platform to provide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we first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metaverse platforms and then selected Gathertown as a metaverse platform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Next, we created a meta school virtual classroom on the Gathertown platform, designed a space to provide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talled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 by topi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Results First, a meta school space was created on the Gathertown platform, consisting of a lobby space, education space, group activity space, and exhibition space. Second, after learners went to school in the lobby space, class materials on disaster and safety topics were shared in the educational space. Collaboration tools were connected to the group activity space to enable active discussion by group, and an exhibition space was set up to display the results of group activities. prepared.
Conclusions In a situation where social and academic interest in the metaverse has rapidly increased, this study utilizes the metaverse platform to load exist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by disaster safety topic and provide related data in a systematic and efficient manner to the metaverse platform.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is an early example of build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 using a bus platfor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