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Women with Climacteric Phase: An Exploration of Menopausal Symptoms, Self-Efficacy, Aging Anxiety, and Self-Accept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정미(Jungmi Kang) 김미옥(Miok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223~23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갱년기 증상, 자기효능감, 노화불안, 자기수용,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충청남도 소재 3곳의 주민자치센터에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등록된 45세-56세 여성 125명을 대상으로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통해 2023년 5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SAS 9.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노화불안(r=-.287,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자기수용(r=.192, p=.032)과 자기효능감(r=.41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374, p<.001), 직업유무(β=.209, p=.010), 노화불안(β=-.237, p=.020)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6%이었다(F=8.14, p<.001).
결론 갱년기 여성 개개인이 높은 자기효능감을 도모하도록 하고, 자신의 건강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탐색하여 노화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건강증진행위 향상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enopausal symptoms, self-efficacy, aging anxiety, self-acceptanc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enopausal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health promotion behavior.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May 20 to July 20, 2023 through a self-written survey of 125 women aged 45-56 enrolled in educational programs operated by three community autonomy centers in Chungcheo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9.0/SAS 9.4 statistical program.
Results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ging anxiety (r=-.287, p=.001). Health promotion behavior also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r=.192, p=.032) and self-efficacy (r=.415, p<.001).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are self-efficacy (β=.374, p<.001), occupation (β=.209, p=.010), aging anxiety (β =-.237, p=.020)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6% (F=8.14, p<.001).
Conclusions There is a need for a health promotion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that helps individual menopausal women promote high self-efficacy and relieve anxiety about aging by fully recognizing and exploring their heal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