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SG Awareness, Consumer Behavior,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Jinok Susanna Kim 조혜영(Jo, Hyeyoung) 한진욱(Han, Jin W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27~3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ESG 인식과 소비성향, 환경문제 및 환경친화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 권역 유아교육과 재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SPSS 23.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변인의 경향성과 정규성, 신뢰도 계수를 알아보았고,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다양한 적합도 지수(X2, NFI, IFI, TLI, CFI, RMSEA(LO-HI), SRMR)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연구변인의 경향성을 보면, ESG 인식과 환경문제는 평균 4.0점 이상, 소비성향과 환경친화적 행동의 평균은 3.0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정규성은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환경문제와 환경친화적 행동을 중심으로 보면, ESG 인식과 하위요인(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소비성향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환경문제와 환경친화적 행동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보면, ESG 인식은 소비성향, 환경문제, 환경친화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성향은 환경문제와 환경친화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분석결과는 ‘ESG 인식→소비성향→환경친화적 행동’과 ‘ESG 인식→소비성향→환경문제’의 경로로 소비성향이 부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환경문제와 환경친화적 행동을 이끌기 위해 ESG 인식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소비성향에 대한 습관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ESG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SG awareness, consumer behavior,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25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the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regions were surveyed. The tendencies, normality,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research variables were examined using SPSS 23.0 and AMOS 25.0 softwar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structural model was validated using various fit indices such as X2, NFI, IFI, TLI, CFI, RMSEA(LO-HI) and SRMR.
Results These are the main findings. First, regarding the research variables, ESG awareness and environmental issues scored above 4.0 points, while consumer behavior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averaged above 3.0 points. This indicates relatively high levels, and the data also met the assumption of normality. Second,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SG awareness and its sub-factors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as well as consumer behavior. Addition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Third, based o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it was found that ESG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Consumer behavior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Fourth,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consumer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ESG awareness on both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ons and environmental issues.
Conclusions Thes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education on ESG awareness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and promote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s. It emphasizes the utmost importance of cultivating habits related to consumer preferences through edu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aim to propose strategies for enhancing ESG awarenes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