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arting to Know the World from Deep Self-understanding : Focusing on the ‘Global Citizenship and Restorative Peace’ Liberal Arts Class at D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신난희(Nanhee Shin) 유득규(Deukgou You) 박난희(Nanhee Park)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1호, 319~33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회복적 평화 관점으로 설계된 수업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어떻게 자기 내면과 연결하게되고 자기에 대한 깊은 이해를 경험하게 되며 나아가 세계 알기로 인식의 확장을 시작하는지에 관하여살펴보았다. 분석에 의하면, 학습자들은 관찰하기-느낌 표현-욕구 알기-핵심가치 찾기-부탁하기 활동을통하여 이제까지 자기를 구성해 온 문화적 가치와 양식에 구속되어 있던 자기를 발견하고 표현하며자유로움을 경험할 수 있었다. 자문화기술지 작성 활동은 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조별 활동은 자기 내면에 대한 깊은 이해 과정의 힘든 순간을 함께 나누는 공감과 연대감을 생성하며세계 알기의 힘든 작업을 해나가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였다. 본 교과목 활동은 본격적으로 세계시민으로서의 인식과 활동을 전개하는데 전제가 되는 깊은 자기이해를 경험하는 데 주안점이 놓인 것으로이후 이러한 내적 역량을 성취한 학습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세계 알기에 관한 인식과 탐구를 어떻게성취하는지에 관한 후속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in a course designed from a restorative peace perspective, learners connect with their inner self, experience a deep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further begin to expand their awareness by learning about the world around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rough the activities of observing, expressing their feelings, knowing their desires, finding core values and making requests, learners were able to discover and express themselves and experience freedom from being bound by the cultural values and styles that had formed their characters so far. The activity of writing an auto-ethnography journal became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carrying out this work. Group activities created a sense of empathy and solidarity among the students through their sharing of difficult moments in the process of gain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inner self, and provide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carrying out the difficult task of better knowing the world. The focus of this subject's activities is for the students to experience deep self-understanding, which is a prerequisite for developing a greater awareness as global citizens. Afterwards, students asked themselves the following question: How can we as learners more actively engage in awareness and explor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world, once we have achieved this internal competenc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follow-up work to determine whether this is achievable.
목차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 검토 및 수업 설계
3. 수업 진행 과정 소개
4. 수업 진행 과정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