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re Values in National Curriculum through Future Society Predi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선(Ji-sun Yu) 양성훈(Sung-hoon Ya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1호, 79~1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가치 교육의 중요성을 다루고, 국가수준교육과정에 필요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탐색하여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먼저,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사용된 핵심가치 개념어를 빈도분석하여 중요한 핵심가치 개념어를도출하였다. 이후 각 정부 부처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헥심추진과제 헤드라인을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기법으로 분석하여 경향성을 확인하고, ChatGPT를 활용해 미래 사회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를 생성후 STEEP에 따라 분류하였다. STEEP으로 분류한 미래 사회 예측 시나리오를 2022 개정 교육과정문서의 핵심가치 개념어와 매칭하여 사회와 개인 측면으로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존중’을 포함한 30가지 핵심가치 개념어가 도출되었고, 각 정부 부처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에서는 ‘산업, 확대, 추진’ 등이 중요하게 나타나. 정부 주요업무보고의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면서도 각 부처의 특색이 나타나는 ‘교육, 문화, 해양’ 등의 단어도 상위 빈도에포함되어 있어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으로 미래 시나리오 주제를 도출하는것이 유의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hatGPT를 활용해 생성한 미래 사회 예측 시나리오는 10가지로나타났으며, 이를 STEEP에 따라 분류 후 사회와 개인 측면으로 나뉘어 총 30개로 구성된 핵심가치개념어 체계를 개발하였다.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는 초중등학교 핵심가치 교육 활성화·체계화에 기여하고 대학 수준의 교양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단초가 되리라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core value education requir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and to explore and develop a core value concept word system for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core value concept words us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were frequency analyzed to derive important core value concept words. Then, we analyzed the headlines of the hexagonal promotion tasks in the main work report documents of each government department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to identify trends, and generated scenarios for predicting the future society using ChatGPT and finally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STEEP. The future society prediction scenarios classified by STEEP were matched with the core value concept word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 and presented systematically in terms of society and individuals. As a result of the study, 30 core value concept words including “respect” were derived fro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industry, expansion, and promotion” were important in the headlines of the key initiatives of each government ministry's major work report. Words such as “education, culture, and marine,”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s major work report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inistry, were also included in the high frequency range, confirming that it can be meaningful to derive future scenario topics from the headlines of the key initiatives of the government's major work report. There were 10 future society prediction scenarios generated using ChatGPT, and after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TEEP, we developed a core value concept word system consisting of a total of 30 words divided into society and individual aspects. The core value conceptual language system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and systematization of core valu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will be the basis for connecting with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