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Based on Oral Life History: Focusing on FGI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옥주(Ohkju Kim) 장덕희(Dukhee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1호, 779~8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날로 심각해지는 세대갈등이 개인과 사회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세대통합 제고를 위한 세대통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노년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세대갈등에 주목하여, 청소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10년 이상 관련기관의 유경험자인 사회복지 전공 교수 3명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3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개의 상위 개념 ‘세대갈등과 통합’, ‘세대통합 공감’,‘나의 세대통합 이야기’, ‘세대통합활동의 무대화’, ‘세대통합활동 효과’와 12개의 하위 개념이 도출되어, 구술생애사를 기반으로 참여자의 활동 결과물 전시와 공연으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방향이 설정되었다. 구술생애사 기반 자료는 익숙한 일상사가 활동의 주요 소재가 됨으로써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가 되는 경험을 통해 프로그램에 몰입할 수 있는 요인이 제공됨에 따라 참여자들의 상호 이해 증진으로 세대통합 기여의 함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to improve generational integration. Focusing on the generational conflict between the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we conducted expert FGI with three social welfare professors and three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5 high-level concepts and 12 low-level concepts were derived. Oral life history-based data can contribute to generational integration by enhancing mutual understanding among participants by providing factors that enable immersion in the program through the experience of being both a producer and a consum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및 내용
Ⅳ.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