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ers' Learning through the Operation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진(Hee jin Kim) 남영숙(Young sook Na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1121~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교사들이 학교 환경교육 사업 운영 업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환경교육 업무 수행 과정에서경험한 유의미한 학습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충청북도교육청의 초록학교 정책사업에 2년 이상 참여하고 있는 학교 및 초록학교에 대한 지속적인경험을 소유한 초⋅중⋅고⋅특수학교의 담당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개방형 설문 등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논의를 거쳐 연구 결과를 토출하였다.
결과 교사들은 환경교육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넘어, 교육적으로 내실있는 활동을 추구함으로써, 상황에 맞는교육적 차원의 학교 환경교육을 강화했다. 이러한 노력은 교사들의 기존의 환경교육 업무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업무를 통한 학습 과정을 통해 학교 전체적인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결과적으로 학교 차원에서의 환경교육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었다.
결론 학교 환경교육 사업 운영 업무는 교사들이 더 나은 환경교육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천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교육적 목적을 우선순위에 둔 내실있는 활동 구현을 통해 교사들은 개인과 공동체 차원에서의 사업 운영 의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환경교육실천가로서의 업무 자발적 참여동기를 확보해 나갈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eachers perceive the operation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and identify th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ey encounter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environmental education tasks.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s Green School policy project for over two years and have continuous experience with Green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discussions.
Results Teachers,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environmental education tasks, strengthened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on an educational dimension tailored to the specific situation, surpassing visible outcomes and pursuing educationally substantial activities. The efforts made by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changing their perspectives on the exi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ask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facilitated by these tasks, teachers recognized the overall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consequently, secured environmental education leadership at the school level.
Conclusions The operation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should be a process where teachers actively engage in and prioritize the implementation of substantial activities with an educational focus for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realizing activities that prioritize educational objectives, teachers can create meaning in the operation of projects at both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This approach allows teachers to secure voluntary motivation for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roles as practitioners of environment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