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act of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Helpless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예(Kim Na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785~79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와 조절효과를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 중학교 3학년 재학생 152명이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신뢰도 산출, 빈도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관계계수,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적 지지가 학업무기력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과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스마트폰 과의존이 있는 청소년의 경우 학업무기력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자원을 가지는 경우 스마트폰과의존이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학업무기력을 낮추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smartphone dependence of adolescents has an impact on academic helplessness and to verify of direct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i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adolescents who wer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152 subjects in G metroplitan city. For data processing, SPSS 21.0 program was used. The research methood is used to measure reliability by Cronbach's α,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support revealed direct influence on academic helplessness. Moreover, the social support checked the moderating effect of do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helplessness.
Conclusions Adolescents with smartphone dependence reported a greater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having social support resources reduced th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resulting in lowered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